광주상공회의소는 회원기업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항상 노력하고있습니다.
- 광주지역의 광융합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제언 등 광융합산업의 도약전략을 제시
- 기술간, 산업간 융합사업화를 통해 자원활용 극대화, 글로벌 산업으로 육성해야..
❍ 광주지역의 미래 먹거리 산업인 광융합산업의 도약전략을 제시한 연구보고서가 발간됐다.
❍ 광주상공회의소(회장 박흥석)는 광주지역 차세대 신성장 동력의 교두보가 될 광융합산업 육성전략을 모색하고 지역기업의 대응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‘광주지역의 미래 먹거리 광융합산업의 도약전략’이란 주제로 상공리포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.
❍ 이번 연구에는 광주상공회의소 경영자문위원인 김동근 호남광역경제선도산업지원단 광기반융합산업지원실 PD, 최현용 전자부품연구원 IT융합기술지원센터장이 참여하였다.
❍ 이 보고서는 ▲산업변화와 정부정책트랜드에 따른 광산업의 중요성 ▲광융합산업이란? ▲광주지역 광융합산업 육성현황 ▲광융합산업의 동향 ▲광주지역의 광융합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제언 ▲광융합산업과 국가 전략산업간 연계를 위한 정책제언 ▲융복합 연계를 통한 미래의 먹거리 창출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.
❍ 보고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광산업은 레이저의 다양한 응용, 적외선광학렌즈 양산, 광센서, OLED 등 新유망부문이 발굴되고 있는 추세에 발맞추어 전통산업과의 융합이 대세로 작용하면서 사회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는데 광주 광산업은 첨단과학단지를 중심으로 국제적 광산업클러스터가 육성되었으며, 기업수, 고용, 매출액 등에서 광주지역의 핵심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면서
❍ 광주지역의 광융합산업 육성을 위해 산업내 산발적 혹은 고립된 형태의 기술개발 및 독자적 사업화를 탈피하고 기술간 융합 및 산업간 융합사업화를 통해 자원활용을 극대화 하고 글로벌 산업으로 육성해야 하며
❍ 현재 상용화가 가능하고 미래 시장 창출이 높은 일반조명분야와 LED 융복합분야 중 농생명 분야를 집중 육성하고, 시스템 제어분야로 감성 조명을 실현하는 기술을 활용한 조명제품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.
❍ 또한 광주지역 광산업의 우수한 인프라와 R&D 연계를 통한 성과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국가 R&D 선정 시 지역간 연계사업의 경우 우대 가산점을 부여하는 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.
❍ 이번에 발간된 보고서는 광주지역 光산업체를 비롯해 관련 정부부처 및 유관기관 등에 배포할 예정이다.
*상공리포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
*문의처 : 상공진흥부 이영광 대리(062-350-5866)